DSC05688(1920X600)

다중 매개변수 환자 모니터 - ECG 모듈

임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비인 다변수 환자 모니터는 중증 환자의 생리적 및 병리적 상태를 장기간 다변수로 감지하는 생체 신호 분석 장비입니다. 실시간 자동 분석 및 처리를 통해 적시에 시각 정보로 변환하고,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을 자동으로 경보하고 기록합니다. 환자의 생리적 지표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 외에도, 투약 및 수술 전후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치료하며, 중증 환자의 상태 변화를 적시에 파악하고, 의사가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 중증 환자의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환자 모니터1
환자 모니터2

기술의 발전으로 다중 매개변수 환자 모니터의 모니터링 항목은 순환계에서 호흡계, 신경계, 대사계 등 기타 시스템으로 확장되었습니다.이 모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CG 모듈(ECG), 호흡 모듈(RESP), 혈중 산소 포화도 모듈(SpO2), 비침습적 혈압 모듈(NIBP)에서 온도 모듈(TEMP), 침습적 혈압 모듈(IBP), 심장 변위 모듈(CO), 비침습적 지속적 심장 변위 모듈(ICG), 호흡 종료 이산화탄소 모듈(EtCO2), 뇌파 모니터링 모듈(EEG), 마취 가스 모니터링 모듈(AG), 경피적 가스 모니터링 모듈, 마취 깊이 모니터링 모듈(BIS), 근육 이완 모니터링 모듈(NMT), 혈역학 모니터링 모듈(PiCCO), 호흡 역학 모듈로 확장됩니다.

11
2

다음으로, 각 모듈의 생리학적 기초, 원리, 개발 및 응용을 소개하기 위해 여러 부분으로 나뉩니다.심전도 모듈(ECG)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1: 심전도 생성 메커니즘

동방결절, 방실접합부, 방실로 및 그 가지에 분포하는 심근세포는 흥분 시 전기 활동을 일으키고 신체 내에 전기장을 생성합니다. 이 전기장(신체 어느 곳이든)에 금속 탐침 전극을 놓으면 약한 전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전기장은 운동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합니다.

조직과 신체 부위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부위의 탐색 전극은 각 심장 주기마다 다른 전위 변화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작은 전위 변화는 심전도에 의해 증폭되어 기록되며, 그 결과 나타나는 패턴을 심전도(ECG)라고 합니다. 전통적인 심전도는 신체 표면에서 기록되며, 이를 표면 심전도라고 합니다.

2:심전도 기술의 역사

1887년, 영국 왕립학회 메리 병원의 생리학 교수였던 월러는 모세관 전위계를 이용하여 최초의 인체 심전도 기록을 성공적으로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그림에는 심실의 V1과 V2 파만 기록되었고 심방 P파는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월러의 위대하고도 생산적인 연구는 당시 청중석에 있던 빌렘 에인트호벤에게 영감을 주었고, 심전도 기술이 궁극적으로 도입되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사진 1
사진 2
사진 3

------------------------(AugustusDisire Walle)---------------------------------------(Waller가 최초의 인간 심전도를 기록했습니다)-------------------------------------------------(모세관 전위계)-----------

이후 13년 동안 에인트호벤은 모세관 전위계로 기록된 심전도 연구에 전념했습니다. 그는 여러 핵심 기술을 개선하여 현 검류계를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감광 필름에 기록된 체표면 심전도를 이용하여 심방 P파, 심실 탈분극 B파, C파, 재분극 D파를 나타내는 심전도를 기록했습니다. 1903년에는 심전도가 임상에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1906년에는 심방 세동, 심방 조동, 심실 조기 박동의 심전도를 차례로 기록했습니다. 1924년에는 심전도 기록법을 발명한 공로로 노벨 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사진 4
사진 5

-------------------------------------------------------------------------------------------------아인트호벤이 기록한 진정한 완전 심전도----------------------------------------------------------------------------------------------------------

3:리드 시스템의 개발 및 원리

1906년, 에인트호벤은 양극성 사지 유도(bipolar limb lead)라는 개념을 제안했습니다. 환자의 오른팔, 왼팔, 그리고 왼다리에 기록 전극을 쌍으로 연결한 후, 고진폭과 안정적인 패턴의 양극성 사지 유도 심전도(리드 I, 리드 II, 리드 III)를 기록할 수 있었습니다. 1913년, 양극성 표준 사지 전도 심전도가 공식적으로 도입되었고, 20년 동안 단독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933년 윌슨은 마침내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에 따라 영전위와 중앙 전기 단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극성 리드 심전도를 완성하였고, 윌슨 네트워크의 12리드 시스템을 확립했습니다.

 그러나 윌슨의 12유도 시스템에서는 3개의 단극성 사지 유도인 VL, VR, VF의 심전도 파형 진폭이 낮아 변화를 측정하고 관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1942년 골드버거는 추가 연구를 통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단극성 가압 사지 유도인 aVL, aVR, aVF 유도를 개발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ECG를 기록하기 위한 표준 12 리드 시스템이 도입되었습니다. 3개의 양극성 사지 리드(Ⅰ, Ⅱ, Ⅲ, Einthoven, 1913), 6개의 단극성 유방 리드(V1-V6, Wilson, 1933), 3개의 단극성 압박 사지 리드(aVL, aVR, aVF, Goldberger, 1942).

 4:좋은 ECG 신호를 얻는 방법

1. 피부 준비. 피부는 전도성이 낮으므로, 좋은 심전도 신호를 얻으려면 전극이 부착된 환자의 피부를 적절히 치료해야 합니다. 근육이 적고 평평한 피부를 선택하십시오.

피부는 다음 방법에 따라 관리해야 합니다. ① 전극이 부착된 부위의 체모를 제거합니다. 전극이 부착된 부위의 피부를 부드럽게 문질러 각질을 제거합니다. ③ 비눗물로 피부를 깨끗이 씻습니다(에테르나 순수 알코올은 피부의 저항력을 증가시키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④ 전극을 부착하기 전에 피부가 완전히 건조되도록 합니다. ⑤ 환자에게 전극을 부착하기 전에 클램프나 버튼을 설치합니다.

2. 심장전도선의 유지관리에 주의하고, 리드선의 감김과 매듭을 금지하여 리드선의 차폐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드클립이나 버클에 묻은 먼지를 적시에 청소하여 리드산화를 방지한다.


게시 시간: 2023년 10월 12일